무료 승차제
무료 승차제는 특정 집단 또는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사람들에게 대중교통 이용 요금을 면제해 주는 제도이다. 일반적으로 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 사회적 약자층의 이동권을 보장하고 사회 참여를 증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다. 또한, 특정 시간대나 특정 노선에 한해 무료 승차를 제공하여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고 교통 혼잡을 완화하는 정책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무료 승차 제도는 시행 주체에 따라 정부 주도, 지방자치단체 주도, 혹은 기업 주도로 나뉠 수 있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관련 법률이나 조례에 근거하여 제도를 운영하며, 예산 지원을 통해 손실을 보전한다. 기업의 경우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무료 승차를 제공하거나,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특정 고객층에게 혜택을 제공하기도 한다.
무료 승차제의 효과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 모두 존재한다.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사회적 약자의 이동권 보장, 대중교통 이용률 증가, 교통 혼잡 완화, 사회 참여 증진 등을 들 수 있다. 반면,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대중교통 운영 기관의 재정 악화, 형평성 문제, 부정 이용 가능성 등이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무료 승차제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대상 범위, 재원 조달 방안, 부정 이용 방지 대책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