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하루방
돌하르방은 제주도에 있는 현무암으로 만든 석상이다. '돌 할아버지'라는 뜻의 제주 방언으로, 제주도의 상징물 중 하나이다. 제주도 방언으로 '옹중석(翁仲石)'이라고도 불렀으며, 1971년에 '돌하르방'으로 명칭이 통일되었다.
돌하르방은 주로 성문 밖에 세워져 성을 보호하고 잡귀의 출입을 막는 수호신의 역할을 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위치에 따라 주술적 기능, 금표(禁標) 기능, 이정표 기능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는 설도 있다.
돌하르방의 형태는 지역에 따라 약간씩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큰 눈과 코, 굳게 다문 입, 불룩한 배를 가진 모습으로 표현된다. 머리에는 벙거지를 쓰고 있으며, 양손은 배 위에 가지런히 모으고 있다. 돌하르방의 크기는 대략 1~3m 정도이며, 재료는 제주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무암을 사용한다.
돌하르방은 제주도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현재 제주도 곳곳에서 돌하르방을 볼 수 있으며, 기념품으로도 많이 판매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