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09건

소염제

소염제 (消炎劑, anti-inflammatory drug)는 염증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약물 또는 물질을 총칭한다. 염증은 신체가 손상이나 감염에 대응하는 자연스러운 방어 반응이지만, 과도하거나 부적절한 염증 반응은 통증, 부종, 발열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만성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소염제는 이러한 염증 반응을 조절하여 증상을 완화하고 질병의 진행을 늦추는 데 사용된다.

종류

소염제는 작용 기전과 화학 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주요 소염제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NSA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사이클로옥시게나제 (COX) 효소를 억제하여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약물이다.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아스피린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NSAIDs는 통증 완화, 발열 감소, 염증 억제 효과를 가지며, 관절염, 두통, 근육통 등 다양한 질환에 사용된다. 그러나 위장 장애, 심혈관계 부작용 등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 스테로이드성 소염제 (Corticosteroids): 코르티솔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합성 호르몬으로, 면역 반응을 억제하고 염증을 감소시키는 강력한 효과를 가진다.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스테로이드성 소염제는 자가면역 질환, 알레르기 반응, 천식 등 심각한 염증성 질환에 사용되지만, 장기간 사용 시 부작용 (골다공증, 체중 증가, 감염 위험 증가 등)의 위험이 높다.

  • 선택적 COX-2 억제제 (COX-2 Inhibitors): NSAIDs와 유사하게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을 억제하지만, COX-1 효소보다는 COX-2 효소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위장 장애 부작용을 줄이도록 설계된 약물이다. 세레콕시브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 기타 소염제: 콜히친 (통풍 치료제), 항류마티스제 (DMARDs) 등 특정 질환에 특화된 소염제도 존재한다.

사용 시 주의사항

소염제는 의사의 처방 또는 약사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용량과 기간 동안 사용해야 한다. 특히 NSAIDs의 경우 위장 장애, 신장 기능 저하, 심혈관계 질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스테로이드성 소염제는 장기간 사용 시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의 감독 하에 사용해야 한다. 약물 복용 전에는 반드시 복용 방법, 부작용, 상호작용 등을 확인하고, 이상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사 또는 약사와 상담해야 한다. 임산부, 수유부, 노약자, 특정 질환 환자의 경우 소염제 사용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