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7,625건

복리

복리란 이자를 원금에 더하여 다음 기간의 이자 계산 기준으로 삼는 방식을 말한다. 단리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단리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복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는 초기 투자액이 적더라도 장기간에 걸쳐 상당한 규모의 자산을 축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계산 방식: 복리 계산은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A = P (1 + r/n)^(nt)

  • A: 미래가치 (투자 후 최종 금액)
  • P: 현재가치 (초기 투자액)
  • r: 연이율 (10%는 0.1로 표기)
  • n: 이자 지급 횟수 (연 1회는 1, 연 4회는 4, 연일복리는 365)
  • t: 투자 기간 (년 단위)

예를 들어, 100만원을 연이율 5%로 10년간 복리로 투자하면, 연 1회 이자 지급 시 미래가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A = 1,000,000 (1 + 0.05/1)^(1*10) = 약 1,628,894 원

이처럼 복리는 시간의 힘을 이용하여 자산을 증식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이자율이 높을수록 그리고 투자 기간이 길수록 그 효과가 더욱 커진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반대로 투자 기간이 짧거나 이자율이 낮으면 단리와의 차이가 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복리 계산에는 이자율의 변동, 세금 등의 요소가 고려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실제 수익률은 계산 결과와 다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