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4,131건

비동기 전송 방식

비동기 전송 방식 (Asynchronous Transmission)은 데이터 통신에서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 중 하나로, 송신자와 수신자 간에 정확한 시간 동기화 신호를 공유하지 않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각 데이터 블록(일반적으로 문자)은 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로 묶여 전송되며, 이 시작 및 정지 비트가 수신자에게 데이터 블록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특징

  • 시간 동기화 불필요: 송신자와 수신자가 클럭 신호를 공유하지 않아도 되므로, 동기 전송 방식에 비해 구현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 시작/정지 비트 사용: 각 데이터 블록은 시작 비트(Start Bit)와 정지 비트(Stop Bit)로 둘러싸여 전송된다. 시작 비트는 데이터 전송의 시작을 알리고, 정지 비트는 데이터 전송의 끝을 알린다.
  • 불규칙한 간격 전송: 데이터 블록 간의 시간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데이터를 필요할 때마다 즉시 전송할 수 있게 해준다.
  • 오버헤드: 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 때문에 실제 데이터 전송 효율은 동기 전송 방식에 비해 떨어질 수 있다.

동작 방식

  1. 송신자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시작 비트를 전송하여 수신자에게 데이터 전송이 시작됨을 알린다.
  2. 데이터 비트가 순차적으로 전송된다.
  3.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정지 비트를 전송하여 수신자에게 데이터 전송이 끝났음을 알린다.
  4. 수신자는 시작 비트를 감지하면 데이터 비트를 읽어들이고, 정지 비트를 감지하면 하나의 데이터 블록 수신을 완료한다.

장단점

  • 장점:
    • 구현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 데이터를 필요할 때 즉시 전송할 수 있다.
    • 저속 통신에 적합하다.
  • 단점:
    • 시작/정지 비트 때문에 데이터 전송 효율이 낮다.
    • 고속 통신에는 부적합하다.
    • 에러 발생 가능성이 동기 전송 방식보다 높다.

활용 예시

비동기 전송 방식은 과거에는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모뎀, 프린터, 마우스 등과 같은 장치에서 주로 활용되었다. 현재는 USB, 이더넷 등 다른 통신 방식에 밀려 사용 빈도가 줄었지만, 여전히 임베디드 시스템이나 저속 통신 환경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