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187건

도정

도정 (搗精)은 곡물의 겉껍질을 벗겨내는 과정을 말한다. 주로 벼의 겉껍질인 왕겨를 벗겨 현미를 만들고, 현미에서 쌀겨층을 제거하여 백미를 만드는 과정을 지칭한다. 도정의 목적은 곡물의 식감을 부드럽게 하고 소화 흡수율을 높이는 데 있다.

도정 과정

도정 과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1. 탈곡: 벼 이삭에서 낟알을 분리하는 과정이다.
  2. 조곡 정선: 탈곡된 벼에서 불순물(돌, 짚 등)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3. 현미 도정: 왕겨를 벗겨 현미를 만드는 과정이다.
  4. 백미 도정: 현미의 쌀겨층을 제거하여 백미를 만드는 과정이다.
  5. 백미 정선: 백미에서 싸라기, 깨진 쌀 등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도정 정도에 따른 분류

쌀은 도정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현미: 왕겨만 제거한 쌀로, 영양소가 풍부하지만 식감이 거칠다.
  • 5분도미: 현미에서 쌀겨층의 일부를 제거한 쌀로, 현미와 백미의 중간 정도의 영양과 식감을 가진다.
  • 백미: 현미에서 쌀겨층을 완전히 제거한 쌀로, 식감이 부드럽고 소화가 잘 되지만 영양소는 현미에 비해 적다.

도정 기술의 발전

과거에는 절구나 디딜방아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도정을 하였으나, 현재는 정미기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도정할 수 있다. 정미 기술의 발전으로 쌀의 품질이 향상되고, 다양한 종류의 쌀이 생산되고 있다.

관련 용어

  • 정미 (精米): 곡물의 겉껍질을 벗겨 알맹이를 깨끗하게 하는 과정.
  • 정미기 (精米機): 쌀을 도정하는 기계.
  • 현미 (玄米): 왕겨만 벗겨낸 쌀.
  • 백미 (白米): 현미에서 쌀겨층을 완전히 제거한 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