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막염
늑막염 (Pleurisy)은 폐를 둘러싸고 있는 얇은 막인 늑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늑막은 폐의 표면을 덮는 장측 늑막과 흉벽의 안쪽을 덮는 벽측 늑막의 두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두 층 사이에는 늑막액이라는 얇은 액체 막이 존재하여 폐가 흉곽 내에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돕는다. 늑막염은 이러한 늑막에 염증이 생겨 늑막의 표면이 거칠어지면서 호흡 시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이다.
원인
늑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바이러스 감염이다. 그 외에도 세균 감염(폐렴, 결핵 등), 진균 감염, 자가면역질환(류마티스열, 루푸스 등), 폐색전증, 흉부 외상, 암 등이 늑막염을 유발할 수 있다. 드물게는 약물 부작용이나 석면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증상
늑막염의 주된 증상은 날카롭고 찌르는 듯한 흉통이다. 이 통증은 숨을 쉬거나 기침, 재채기를 할 때 더욱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늑막염 환자는 종종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숨을 얕게 쉬거나, 아픈 쪽으로 누우려는 경향을 보인다. 그 외에도 발열, 오한, 호흡곤란, 마른 기침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늑막액이 과도하게 축적되는 늑막삼출이 발생할 경우, 흉통은 완화될 수 있지만 호흡곤란이 심해질 수 있다.
진단
늑막염은 주로 환자의 증상과 병력 청취, 신체 검진을 통해 의심할 수 있다. 흉부 X선 촬영, CT 촬영,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늑막의 상태를 확인하고 다른 질환과의 감별 진단을 시행한다. 늑막 삼출액이 있는 경우, 늑막천자를 통해 삼출액을 채취하여 세균 배양 검사, 세포 검사, 생화학 검사 등을 실시하여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치료
늑막염의 치료는 원인 질환에 따라 달라진다. 세균 감염이 원인인 경우 항생제를 투여하고, 바이러스 감염인 경우 대증 요법(통증 완화, 휴식 등)을 시행한다. 자가면역질환이 원인인 경우 면역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통증 완화를 위해 진통제를 사용하며, 늑막 삼출액이 많아 호흡곤란이 심한 경우에는 흉관 삽관을 통해 삼출액을 제거하기도 한다.
예방
늑막염 자체를 예방하는 방법은 특별히 없지만, 폐렴이나 결핵과 같은 늑막염의 원인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규칙적인 운동, 충분한 휴식,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고, 예방 접종을 통해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