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850건

누스

누스는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사용된 개념으로, 일반적으로 '지성', '이성', '정신', '마음' 등으로 번역됩니다. 누스는 단순히 감각적인 경험이나 의견을 넘어서는, 사물의 본질과 진리를 파악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개념

누스는 플라톤 철학에서 처음 등장하며, 이후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서 더욱 발전된 형태로 제시됩니다.

  • 플라톤: 플라톤에게 누스는 '이상'의 세계를 인식하는 능력입니다. 감각적인 세계는 끊임없이 변화하지만, 누스를 통해 영원하고 불변하는 이상의 세계를 인식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는 누스를 인간의 고유한 능력으로 보고, 이론적 지혜(소피아)와 실천적 지혜(프로네시스)를 통해 발휘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누스를 '움직이지 않는 동자(動者)' 또는 '자기 자신을 생각하는 사유'라고 정의하며, 신적인 속성과 연결시키기도 했습니다.

영향

누스 개념은 이후 철학, 신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신플라톤주의 철학에서는 누스가 '하나(The One)'에서 유출되는 최초의 존재로 여겨졌으며, 기독교 신학에서는 신의 지혜 또는 로고스와 연결되기도 했습니다. 현대 철학에서는 누스 개념이 인간의 인지 능력과 의식 연구에 중요한 영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참고 문헌

  •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 플라톤, 《국가》

참고: 이 설명은 '누스' 개념에 대한 기본적인 개요를 제공하며, 더욱 심도 있는 정보는 관련 철학 서적 및 연구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