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학
분류학 (分類學, Taxonomy)은 생물 또는 무생물을 체계적으로 그룹화하고 명명하는 학문 분야이다. 넓은 의미로는 자료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나누어 정리하는 모든 행위를 포함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생물 분류학을 지칭한다.
분류학은 다음의 주요 목표를 가진다.
- 분류 (Classification): 관찰 가능한 특징, 유전적 유사성, 진화적 관계 등을 바탕으로 생물을 계층적으로 그룹화한다. 이 과정에서 생물은 역(domain), 계(kingdom), 문(phylum), 강(class), 목(order), 과(family), 속(genus), 종(species) 등의 분류 단계를 거쳐 위치하게 된다.
- 명명 (Nomenclature): 각 생물 그룹에 고유한 학명을 부여한다. 국제적인 규약에 따라 학명은 일반적으로 라틴어 또는 라틴어화된 형태로 표기되며, 이명법(binomial nomenclature)에 따라 속명과 종명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사람의 학명은 Homo sapiens이다.
- 동정 (Identification): 알려지지 않은 생물을 기존의 분류 체계와 비교하여 그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분류 키(taxonomic key) 또는 유전자 분석과 같은 방법을 활용한다.
- 계통 연구 (Phylogeny): 생물 간의 진화적 관계를 밝히고 이를 계통수로 표현한다. DNA 염기서열, 형태학적 특징, 생리학적 특성 등 다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통수를 추론한다.
분류학은 생물학 연구의 기초가 되며, 생물 다양성 보존, 질병 진단, 농업, 환경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또한, 분류학은 새로운 생물 종을 발견하고 기록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현대 분류학은 전통적인 형태학적 특징 분석 외에도 분자생물학적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분류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