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음
유음은 혀의 윗면과 입천장 사이의 좁은 틈 사이로 공기가 흐르면서 나는 소리를 말합니다. 흐름소리라고도 합니다.
개요
유음은 조음 방법 상의 분류에 따른 것으로, 자음 중 장애음(폐쇄음, 파찰음, 마찰음)과 달리 공기의 흐름이 완전히 막히거나 심하게 좁혀지지 않아 비교적 자유롭게 흘러나오는 특징을 가집니다. 따라서 모음과 유사한 성질을 가지며, 때로는 반모음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종류
한국어의 유음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설측음(혀옆소리): 혀끝이 윗잇몸에 닿고 혀의 양 옆으로 공기가 흘러나오는 소리. 한국어의 'ㄹ'이 이에 해당합니다. 'ㄹ'은 어두에서는 [l] 발음, 어중이나 어말에서는 [ɾ] (탄음, 혀를 튕기는 소리)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음운론적 특징
유음은 언어에 따라 음절 구조에서 특수한 위치를 차지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일부 언어에서는 유음이 모음과 유사하게 작용하여 음절의 핵을 이루기도 합니다. 또한, 유음은 다른 자음과 결합하여 복잡한 자음군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기도 합니다.
참고 문헌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음성학 관련 서적 및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