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14건

세제

세제는 물에 용해되어 세척력을 가지는 물질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 섬유, 식기, 주거 공간 등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며, 비누와 합성세제로 크게 나뉜다.

개요

세제는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며, 계면활성제는 물과 기름에 모두 친화력을 가지는 분자로, 오염 물질과 물 사이의 표면 장력을 낮추어 오염 물질이 물에 쉽게 분산되도록 돕는다. 또한, 세척력 증진을 위해 빌더(Builder), 효소, 표백제, 형광증백제, 향료 등의 다양한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역사

세제의 역사는 비누의 발견에서 시작된다. 고대 문명에서부터 동물성 지방과 재를 혼합하여 만든 비누가 사용되었으며, 20세기 초 석유화학 기술의 발전으로 합성세제가 개발되면서 세제의 종류와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종류

  • 비누: 천연 지방산의 알칼리염으로, 생분해성이 우수하지만 경수에 약하고 알칼리성이 강해 섬유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 합성세제: 석유화학 제품을 원료로 만든 세제로, 비누에 비해 세척력이 우수하고 경수에 강하지만 생분해성이 낮고 환경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합성세제는 이온성에 따라 음이온, 양이온, 비이온, 양쪽성 세제로 구분된다.
  • 액체 세제: 물에 잘 녹아 잔여물이 남지 않고 저온에서도 세척력이 우수하며, 드럼세탁기에 적합하다.
  • 가루 세제: 액체 세제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표백 효과가 뛰어나지만, 찬물에 잘 녹지 않고 잔여물이 남을 수 있다.
  • 고체 세제: 세정 성분을 압축하여 만든 형태로, 사용량 조절이 용이하고 보관이 편리하다.

성분

  • 계면활성제: 세제의 주성분으로,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 빌더(Builder): 세척력을 증진시키고 물의 경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 효소: 단백질, 지방 등 특정 오염 물질을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 표백제: 섬유의 색을 밝게 하고 살균 효과를 부여한다.
  • 형광증백제: 섬유에 부착되어 흰색을 더욱 희게 보이도록 한다.
  • 향료: 세탁 후 의류에 향기를 부여한다.

주의사항

세제 사용 시에는 제품에 표시된 사용량과 방법을 준수해야 하며, 피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한, 환경 보호를 위해 적정량의 세제를 사용하고, 친환경 세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련 법규

세제는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에 따라 안전 관리 대상 품목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유해 물질 함량 기준 등이 규정되어 있다. 또한, 환경 보호를 위해 세제 용기의 재활용 의무화 제도 등이 시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