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버스
정의: 고속버스는 일반 시내버스보다 장거리 운행을 목적으로 설계된 버스로, 고속도로를 주로 이용하여 빠른 속도로 승객을 수송한다. 시외버스와 비슷한 개념으로 사용되지만, 고속버스는 보통 더 장거리 노선을 운행하고 편의시설이 더 잘 갖춰져 있는 경우가 많다.
역사: 한국의 고속버스는 1970년대 후반 고속도로 건설과 함께 본격적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편의시설이 부족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차량의 성능 개선과 함께 좌석의 안락함, 화장실 등 편의시설이 크게 향상되었다. 최근에는 무선 인터넷(Wi-Fi) 제공, 개인 모니터 설치 등 더욱 고급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속버스도 등장하고 있다.
특징:
- 장거리 운행: 일반 시내버스보다 훨씬 긴 거리를 운행한다.
- 고속도로 이용: 고속도로를 주로 이용하여 빠른 운행 속도를 확보한다.
- 편의시설: 일반 시내버스에 비해 좌석 간 간격이 넓고, 화장실, 에어컨, 냉난방 시설 등의 편의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최근에는 USB 충전 단자, Wi-Fi 등의 편의시설이 추가되고 있다.
- 예약 시스템: 대부분의 고속버스는 온라인 또는 전화를 통해 예약이 가능하다.
- 다양한 등급: 일반석, 우등석 등 다양한 좌석 등급이 있으며, 등급에 따라 가격과 서비스 수준이 달라진다.
운영: 고속버스는 여러 개의 회사가 운영하며, 각 회사마다 운행 노선과 서비스 수준이 다르다. 정부는 고속버스 운행에 대한 규제와 관리를 통해 안전 및 서비스 질을 유지하고 있다.
관련 용어: 시외버스, 우등고속, 일반고속, 고속버스터미널
참고: 고속버스 운임은 거리와 좌석 등급에 따라 달라진다. 운행 시간과 노선은 각 고속버스 회사의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