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78,345건

고대 우주비행사설

고대 우주비행사설 (Ancient astronaut theory)은 과거에 외계 지적 생명체가 지구를 방문하여 초기 인류 문명 발달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유사과학적 가설이다. 때로는 고대 외계인설 (Ancient alien theory)이라고도 불린다. 이 가설은 고대 유적, 유물, 신화, 전설 등이 외계인의 기술이나 활동을 반영한다는 주장을 바탕으로 한다.

고대 우주비행사설은 주류 과학계에서 널리 인정받지 못하며, 유사과학으로 간주된다. 주류 과학자들은 해당 가설의 근거로 제시되는 증거들이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다른 합리적인 설명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고대 유적의 정교한 건축 기술은 고대인들의 독자적인 기술 발전의 결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신화와 전설은 상징적인 의미나 문화적 해석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

주요 주장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고대 유적 (예: 이집트 피라미드, 마추픽추, 스톤헨지) 건설에 외계인의 기술이 사용되었다.
  • 고대 문명의 예술 작품 (예: 나스카 라인, 동굴 벽화)에 외계인의 모습이나 우주선이 묘사되어 있다.
  • 고대 신화와 종교 경전에 등장하는 신들은 사실 외계인이었다.
  • 인류의 갑작스러운 지능 발전은 외계인의 유전자 조작의 결과이다.

주요 지지자로는 에리히 폰 데니켄, 자카리아 시친 등이 있으며, 그들의 저서는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지만 학문적 비판을 받는다. 역사학, 고고학, 인류학 등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은 고대 우주비행사설이 증거 부족, 논리적 오류, 역사 왜곡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