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하수
생활하수는 가정, 상업 시설, 공공 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총칭하는 용어이다. 이는 주거, 상업, 서비스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며, 다양한 종류의 오염 물질을 포함한다.
정의
생활하수는 일반적으로 화장실에서 나오는 분뇨, 주방에서 나오는 음식물 찌꺼기, 세탁 과정에서 발생하는 세제, 목욕이나 샤워 시 사용되는 비누와 샴푸 등이 섞인 물을 의미한다. 넓은 의미로는 음식점, 숙박 시설, 병원, 학교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도 포함될 수 있다.
발생원 및 종류
- 가정: 화장실, 주방, 세탁실, 욕실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
- 상업 시설: 음식점, 상점, 사무실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
- 공공 시설: 학교, 병원, 공공기관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
생활하수는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한 오염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유기물질, 질소, 인, 세균, 바이러스, 중금속, 합성세제, 기름 등이 대표적인 오염 물질이다.
환경 영향
생활하수는 적절하게 처리되지 않을 경우, 수질 오염의 주요 원인이 된다. 오염된 하천이나 호수는 생태계 파괴를 야기하며, 상수원 오염으로 인해 식수 안전에도 위협을 줄 수 있다. 또한, 부영양화를 일으켜 녹조 현상을 심화시키기도 한다.
처리 방법
생활하수는 일반적으로 하수 처리 시설을 통해 처리된다. 하수 처리 과정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방법을 통해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주요 처리 공정으로는 침전, 여과, 활성 슬러지법, 생물막법 등이 있다.
관련 법규
생활하수와 관련된 주요 법규로는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이 있다. 이 법률은 하수 처리 시설의 설치 및 운영 기준, 하수 배출 허용 기준 등을 규정하여 수질 환경을 보호하고 있다.
참고 문헌
- 환경부
- 국립환경과학원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