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312건

갈애

갈애 (渴愛, 산스크리트어: तृष्णा, trishna, 팔리어: तණ්hā, tanha)는 불교 용어로, 목마름과 같이 충족될 수 없는 강렬한 욕망, 애착, 집착을 의미한다. 특히 감각적 쾌락, 존재에 대한 욕망, 비존재에 대한 욕망과 같이 삼계(三界)의 삶에 얽매이게 하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여겨진다.

어원 및 정의

갈애는 '목마르다', '갈망하다'라는 뜻의 산스크리트어 '트리슈나(trishna)' 혹은 팔리어 '탄하(tanha)'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단순히 물질적인 욕구를 넘어, 끊임없이 무언가를 추구하고 소유하려는 인간의 근본적인 갈망을 나타낸다. 불교에서는 갈애를 무명(無明, avidyā)과 함께 고통(苦, dukkha)의 주요 원인으로 본다.

갈애의 종류

불교에서는 일반적으로 갈애를 세 가지 종류로 나눈다.

  1. 감각적 쾌락에 대한 갈애 (Kama-tanha, 欲愛):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의 감각적 대상에서 오는 쾌락을 추구하는 욕망이다.
  2. 존재에 대한 갈애 (Bhava-tanha, 有愛): 영원한 삶, 윤회, 긍정적인 상태에 대한 욕망이다. 자신이 어떤 존재가 되기를 갈망하는 것을 의미한다.
  3. 비존재에 대한 갈애 (Vibhava-tanha, 無有愛): 죽음, 소멸, 부정적인 상태로부터 벗어나려는 욕망이다. 현 상태를 벗어나 무(無)의 상태가 되기를 갈망하는 것을 의미한다.

갈애의 극복

불교에서는 갈애를 극복하는 것이 고통으로부터 벗어나는 길이라고 가르친다. 팔정도(八正道)를 실천하고, 무상(無常), 고(苦), 무아(無我)의 진리를 깨달음으로써 갈애를 소멸시킬 수 있다고 본다. 특히 사마타-위빠사나 수행을 통해 마음을 정화하고 지혜를 개발하여 갈애의 뿌리를 뽑을 수 있다.

참고 문헌

  • 각묵 스님, 《빠알리 경전 해설》
  • 월폴라 라훌라, 《불교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