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09건

흡입식

흡입식 (Inhalational)은 약물이나 화학 물질을 폐를 통해 체내로 전달하는 투여 방식 또는 그와 관련된 제형을 의미한다. 흡입된 물질은 폐포를 통해 혈액으로 빠르게 흡수되어 전신 효과를 나타내거나, 기관지 등 호흡기계에 직접 작용하여 국소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특징

  • 빠른 약효 발현: 폐포의 넓은 표면적과 풍부한 혈류 덕분에 흡입된 약물은 혈액으로 신속하게 흡수되어 경구 투여에 비해 빠른 약효를 나타낸다.
  • 국소적 효과: 천식 치료제와 같이 특정 약물은 호흡기에 직접 작용하여 전신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 투여 편의성: 휴대용 흡입기를 통해 환자가 스스로 투여할 수 있어 편리하다.

종류

흡입식 투여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주요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정량 흡입기 (Metered-Dose Inhaler, MDI): 가압된 에어로졸 형태로 약물을 분사하는 방식이다. 스페이서와 함께 사용하면 약물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 건조 분말 흡입기 (Dry Powder Inhaler, DPI): 약물이 분말 형태로 담겨 있으며, 환자의 흡입력에 의해 약물이 폐로 전달되는 방식이다.
  • 네뷸라이저 (Nebulizer): 액체 상태의 약물을 에어로졸 형태로 변환하여 마스크나 마우스피스를 통해 흡입하는 방식이다. 주로 호흡기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
  • 전자담배 (E-cigarette): 니코틴 용액이나 향료 등을 가열하여 발생하는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방식이다. 건강에 대한 유해성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 마취제 흡입: 특정 마취제를 흡입하여 의식 소실을 유도하고 전신 마취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이다.

주의사항

흡입식 투여 시에는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해야 한다.

  • 정확한 사용법 숙지: 흡입기의 종류에 따라 사용법이 다르므로, 정확한 사용법을 숙지하고 의사 또는 약사의 지시를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 위생 관리: 흡입기는 정기적으로 세척하고 관리하여 세균 번식을 방지해야 한다.
  • 부작용: 흡입 약물의 종류에 따라 목 건조, 기침, 구강 칸디다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 환경 오염: 에어로졸 형태의 흡입기는 환경 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폐기 시 적절한 방법을 따라야 한다.

관련 질환

흡입식 투여 방식은 주로 다음과 같은 질환의 치료에 사용된다.

  • 천식: 기관지 확장제, 스테로이드 등의 흡입제를 사용하여 기도 염증을 완화하고 기관지를 확장시킨다.
  •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 기관지 확장제, 스테로이드 등의 흡입제를 사용하여 기도를 확장시키고 호흡 곤란을 완화한다.
  • 낭포성 섬유증: 항생제 흡입제를 사용하여 폐 감염을 예방하고 치료한다.
  • 통증 관리: 마약성 진통제 흡입제를 사용하여 급성 또는 만성 통증을 완화한다.
  • 마취: 휘발성 마취제를 흡입하여 전신 마취를 유도하고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