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부
학생부는 대한민국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학생의 학교 생활 전반에 대한 기록을 담는 공식 문서이다. 과거에는 '생활기록부' 또는 '생기부'라는 약칭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학교생활기록부'의 약칭으로도 사용된다. 학생부는 학생의 학업 성적뿐만 아니라 인적 사항, 출결 상황, 교과학습 발달 상황, 창의적 체험활동 상황, 독서활동 상황,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주요 내용:
- 인적 사항: 학생의 이름, 성별, 생년월일, 주소 등 기본적인 정보가 기록된다.
- 학적 사항: 입학, 재학, 졸업 등 학적 변동 사항이 기록된다.
- 출결 상황: 결석, 지각, 조퇴 등의 횟수 및 사유가 기록된다. 질병, 경조사 등 불가피한 사유로 인한 결석은 감안될 수 있다.
- 교과학습 발달 상황: 각 교과목의 성적 (원점수, 과목평균, 표준편차, 석차등급 등),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이 기록된다. 교사의 관찰 및 평가를 바탕으로 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학습 태도 등이 구체적으로 기술된다.
- 창의적 체험활동 상황: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등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내용이 기록된다. 활동 내용, 역할, 성과, 느낀점 등을 통해 학생의 자기주도성, 협동심, 리더십, 문제해결능력 등을 파악할 수 있다.
- 독서활동 상황: 교과 학습 관련 독서 및 자율적인 독서활동 내용이 기록된다. 독서 목록과 함께 감상평이나 느낀점을 간략하게 기록하기도 한다.
-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담임 교사가 학생의 학교 생활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기록한다. 학생의 성격, 인성, 교우 관계, 학습 태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며, 긍정적인 측면과 개선해야 할 점 등을 기술한다.
활용:
학생부는 대학 입시에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특히 수시 전형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 요소로 크게 작용하며, 정시 전형에서도 일부 대학에서 학생부 성적을 반영한다. 또한, 학생부는 학생의 성장 과정을 파악하고 진로 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참고:
- 학생부 관련 법규 및 지침은 교육부에서 발표하며, 매년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학생은 자신의 학생부 내용을 열람하고 오류가 있을 경우 정정을 요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