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86건

췌액

췌액 (膵液, pancreatic juice)은 췌장에서 생성되어 십이지장으로 분비되는 소화액이다. 무색, 무취의 알칼리성 액체이며, 다양한 소화 효소를 포함하고 있어 음식물의 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성 성분

췌액은 크게 물, 전해질, 소화 효소로 구성된다.

  • 물: 췌액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소화 효소를 운반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 전해질: 중탄산염(HCO3-)이 풍부하여 위에서 내려온 산성 미즙을 중화시켜 십이지장 점막을 보호하고 소화 효소가 최적의 조건에서 작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나트륨, 칼륨, 염소 등의 다른 전해질도 포함되어 있다.

  • 소화 효소: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 다양한 영양소의 분해를 돕는 효소들을 포함한다.

    • 탄수화물 분해 효소: 아밀라아제 (Amylase)는 녹말을 엿당으로 분해한다.
    • 단백질 분해 효소: 트립시노겐 (Trypsinogen), 키모트립시노겐 (Chymotrypsinogen), 프로카르복시펩티다아제 (Procarboxypeptidase) 등의 형태로 분비되어 십이지장에서 활성화된 후 단백질을 펩타이드로 분해한다.
    • 지방 분해 효소: 리파아제 (Lipase)는 지방을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한다. 콜레스테롤 에스터라아제 (Cholesterol esterase)와 포스포리파아제 (Phospholipase)도 포함되어 콜레스테롤 에스터와 인지질의 분해를 돕는다.
    • 핵산 분해 효소: 디옥시리보뉴클레아제 (Deoxyribonuclease)와 리보뉴클레아제 (Ribonuclease)는 DNA와 RNA를 각각 뉴클레오티드로 분해한다.

분비 조절

췌액 분비는 신경과 호르몬에 의해 조절된다.

  • 신경 조절: 미주 신경 (Vagus nerve) 자극은 췌액 분비를 촉진한다.
  • 호르몬 조절: 십이지장에서 분비되는 세크레틴 (Secretin)과 콜레시스토키닌 (Cholecystokinin, CCK)이 췌액 분비를 자극한다. 세크레틴은 중탄산염이 풍부한 췌액 분비를 촉진하며, 콜레시스토키닌은 소화 효소가 풍부한 췌액 분비를 촉진한다.

관련 질환

췌장염, 낭성 섬유증, 췌장암 등의 질환은 췌액 분비에 이상을 초래하여 소화 불량 및 영양 결핍을 유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