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554건

현탁액

현탁액 (懸濁液, Suspension)은 액체 중에 고체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혼합물이다. 즉, 고체 입자가 액체에 녹지 않고 떠다니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입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력의 영향으로 가라앉거나 침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을 침강이라고 한다.

특징

  • 불균일 혼합물: 현탁액은 육안으로도 고체 입자를 확인할 수 있는 불균일 혼합물이다. 이는 용액과는 대조적인 특징이다. 용액은 용질이 용매에 균일하게 녹아 있어 육안으로 구별이 불가능하다.
  • 틴들 현상: 현탁액은 빛을 산란시키는 틴들 현상을 나타낸다. 이는 입자 크기가 빛의 파장과 비슷하거나 커서 빛이 입자에 부딪혀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기 때문이다.
  • 침강: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체 입자가 가라앉는 침강 현상이 나타난다. 침강 속도는 입자의 크기, 밀도, 액체의 점성도 등에 영향을 받는다.
  • 여과: 여과를 통해 고체 입자를 액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예시

  • 흙탕물: 물에 흙 입자가 분산된 현탁액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 우유: 지방 입자가 물에 분산된 현탁액이다. (에멀젼에 더 가깝지만, 일부 단백질 입자도 현탁되어 있음)
  • 약품: 일부 약품은 복용 전 흔들어 섞어야 하는 현탁액 형태로 제공된다. 이는 약효 성분이 액체에 녹지 않고 분산되어 있기 때문이다.
  • 페인트: 안료 입자가 액체에 분산된 현탁액이다.

안정성

현탁액의 안정성은 입자가 얼마나 잘 분산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불안정한 현탁액은 쉽게 침강되지만, 안정적인 현탁액은 입자가 오랫동안 분산된 상태를 유지한다. 현탁액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계면활성제나 점도 증가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