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631건

현무암

현무암(玄武岩, basalt)은 화산암의 일종으로, 주로 해양 지각이나 섬, 드물게는 대륙 지각에서도 발견되는 가장 흔한 화성암 중 하나이다. 어두운 색을 띠며, 조직이 치밀하고 단단하다. 현무암이라는 이름은 검은색을 띤다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

특징

현무암은 주로 사장석과 휘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감람석이나 자철석 등이 소량 포함될 수 있다. 이산화규소(SiO2) 함량이 비교적 낮아 점성이 낮은 현무암질 마그마로부터 형성되며, 급격하게 냉각될 경우 유리질 조직을 갖기도 한다. 냉각 속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결정이 나타나며, 기공이 많이 포함된 다공질 현무암도 존재한다. 현무암의 색깔은 철과 마그네슘 함량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짙은 회색에서 검은색을 띤다.

생성 과정

현무암은 맨틀에서 생성된 마그마가 지표면으로 분출하여 빠르게 냉각되면서 형성된다. 해령이나 열점에서 대규모로 분출되는 경우가 많으며, 하와이나 아이슬란드와 같은 화산섬의 주요 암석을 구성한다. 또한, 대륙 지각 내에서도 열곡대나 대규모 화산 활동 지역에서 현무암이 발견된다.

활용

현무암은 건축 자재, 도로 포장재, 조경 자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제주도에서는 현무암을 이용하여 돌담, 밭담, 집의 기초 등을 쌓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현무암의 다공질 구조는 여과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분포

현무암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특히 해양 지각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한국에서는 제주도, 울릉도, 철원 등 화산 활동이 활발했던 지역에서 많이 발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