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전화
정의
공중전화는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누구든지 요금을 지불하고 전화를 걸 수 있도록 제공되는 전화기이다. 개인 소유의 전화기가 보편화되기 이전에는 중요한 통신 수단이었으며, 현재는 비상 연락 수단이나 특정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특징
- 접근성: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누구나 이용 가능하다.
- 요금제: 일반적으로 통화 시간에 따라 요금이 부과된다. 현금, 카드 또는 전화카드를 사용하여 요금을 지불한다. (지역 및 시스템에 따라 다름)
- 내구성: 외부 환경에 노출되므로 일반 전화기에 비해 내구성이 강하다.
- 기능 제한: 일반 전화기에 비해 기능이 제한적일 수 있다. (부가 기능 부재 등)
- 보안: 일부 공중전화는 통화 내용의 보안을 위해 특정 기능을 갖추기도 한다. (보안성 강화된 모델 존재)
역사
초기 공중전화는 코인을 사용하는 방식이었으며, 기술 발전과 함께 카드 방식, 전자 결제 방식 등으로 발전하였다. 개인 휴대전화의 보급으로 이용률이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비상시 통화 수단으로서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현황
개인 휴대전화의 보편화로 인해 이용률은 급격히 감소하였고, 설치된 공중전화의 수도 크게 줄었다. 하지만, 비상 상황이나 휴대전화 사용이 어려운 지역에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기능을 갖춘 공중전화도 등장하고 있다. (지역 및 국가에 따라 차이 존재)
관련 용어
- 전화카드
- 유선전화
- 공공시설
참고
공중전화의 설치 및 관리, 요금 체계는 국가 및 지역별로 상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