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콜린(영어: Phosphatidylcholine, PC)은 인지질의 한 종류이다. 세포막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 모든 진핵세포에서 발견된다. 글리세롤 골격에 두 개의 지방산 사슬, 인산기, 그리고 콜린 분자가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세포 기능 유지, 신호 전달, 지질 대사 및 수송 등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조 포스파티딜콜린은 인지질의 한 종류로서, 글리세롤 분자를 중심으로 스너클(sn) 위치 1과 2에 두 개의 지방산이 에스터 결합하고, 스너클 3 위치에는 인산기와 그에 연결된 콜린 분자가 결합된 형태이다. 이 구조로 인해 인산기와 콜린 부분은 극성을 띠어 친수성이며, 지방산 사슬은 비극성을 띠어 소수성이다. 이러한 양친매성(amphipathic) 특성 덕분에 수용액에서 이중층(bilayer)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기능
- 세포막 구성: 세포막의 인지질 이중층을 형성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포막의 유동성과 투과성 조절에 기여하여 세포의 정상적인 기능 유지에 필수적이다.
- 콜린 공급원: 필수 영양소인 콜린의 주요 공급원 역할을 하며, 체내에서 분해되어 콜린을 생성한다.
- 신경전달물질 전구체: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 합성의 전구체로 사용된다.
- 지질 대사 및 수송: 지질(지방)의 소화와 흡수를 돕는 담즙의 주요 구성 성분이며, 혈액 내에서 지질을 수송하는 지단백질(예: VLDL, HDL)의 중요한 구성 성분이기도 하다.
- 신호 전달: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의 일부로서 기능하기도 한다.
체내 합성 및 공급원 포스파티딜콜린은 체내에서 합성되기도 하지만, 식이 섭취를 통해서도 얻을 수 있다. 특히 난황(계란 노른자), 대두(콩), 해바라기씨 등 다양한 식품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흔히 '레시틴(Lecithin)'이라고 불리는 물질은 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한 인지질 혼합물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활용 식품 산업에서는 유화제(emulsifier)로 널리 사용되어 식품의 안정성과 질감을 개선한다. 건강 보조 식품으로 섭취되기도 하며, 약물 전달 시스템(예: 리포좀)이나 화장품 제조에도 활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