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26건

해양

해양은 지구 표면의 대부분을 덮고 있는 넓고 깊은 바다를 의미한다. 지구상의 모든 바다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이며, 대양(大洋)과 그에 연결된 바다, 해협, 만 등을 모두 포함한다. 해양은 지구의 기후 조절, 생물 다양성 유지, 물질 순환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개요

해양은 지구 표면의 약 71%를 차지하며, 평균 수심은 약 3,800m에 달한다. 크게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북극해, 남극해 (또는 남빙양)의 5대양으로 구분되며, 이들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거대한 해수 순환 시스템을 이룬다. 해양은 수많은 해양 생물의 서식지이며, 인류에게 식량, 에너지, 광물 자원 등을 제공하는 중요한 자원이다. 또한, 해상 운송의 주요 통로로서 국제 무역 및 교류에 기여한다.

특징

  • 염분: 해수는 다량의 염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평균 염분 농도는 약 3.5%이다. 염분의 주요 구성 성분은 염화나트륨(NaCl)이며, 그 외에도 다양한 무기 염류가 존재한다.
  • 수온: 해수의 온도는 위도, 계절, 수심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한다. 표층 수온은 태양 복사 에너지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심해 수온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 밀도: 해수의 밀도는 수온, 염분, 수압에 따라 달라진다. 수온이 낮고 염분이 높으며 수압이 높을수록 밀도가 높아진다.
  • 해류: 해류는 해수의 흐름을 의미하며, 바람, 수온차, 염분차, 지구 자전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해류는 지구의 열에너지 균형을 유지하고, 해양 생물의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
  • 조석: 조석은 달과 태양의 인력에 의해 해수면이 주기적으로 상승하고 하강하는 현상이다. 조석은 해안 지역의 지형 변화, 해양 생물의 생태, 해상 활동 등에 영향을 미친다.

중요성

해양은 지구 시스템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로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기후 조절: 해양은 태양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고 저장하여 지구의 기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해류를 통해 열에너지를 고위도 지역으로 수송하여 지역 간의 기온 차이를 완화시킨다.
  • 생물 다양성 유지: 해양은 지구 생물 다양성의 보고이며, 수많은 해양 생물의 서식지를 제공한다. 해양 생태계는 먹이 사슬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어류, 해양 포유류, 해조류 등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한다.
  • 물질 순환: 해양은 탄소, 질소, 인 등 다양한 물질의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해수는 대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온실 효과를 완화시키고, 해양 생물은 탄소를 고정하여 탄소 순환에 기여한다.
  • 자원 제공: 해양은 인류에게 식량, 에너지, 광물 자원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한다. 어업을 통해 식량을 얻고, 해저 유전과 가스전에서 에너지 자원을 채취하며, 해저 광물 자원을 개발한다.
  • 해상 운송: 해양은 해상 운송의 주요 통로로서 국제 무역 및 교류에 기여한다. 선박을 이용하여 대량의 화물을 운송하고, 해양 관광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창출한다.

위협 요인

해양은 인간 활동으로 인해 다양한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 해양 오염: 산업 폐수, 생활 하수, 농업 폐수 등이 해양으로 유입되어 해수를 오염시키고, 해양 생태계를 파괴한다. 특히, 플라스틱 쓰레기는 해양 생물의 생존을 위협하고, 해양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 기후 변화: 지구 온난화로 인해 해수 온도가 상승하고 해수면이 상승하며, 해양 산성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는 해양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해안 지역의 침수 피해를 야기한다.
  • 남획: 과도한 어획은 어족 자원을 고갈시키고, 해양 생태계의 균형을 파괴한다. 특히, 불법 어업은 어족 자원 감소를 가속화시키고, 해양 생태계를 교란시킨다.
  • 해양 개발: 해안 매립, 해저 광물 자원 개발 등은 해양 환경을 파괴하고, 해양 생물의 서식지를 훼손한다. 또한, 해양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은 해양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친다.

보전 노력

해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해양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국제 협약: 해양 오염 방지, 해양 생물 보호, 해양 자원 관리 등을 위한 국제 협약이 체결되어 있으며, 각국은 협약에 따라 해양 환경 보호를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고 있다.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거나, 멸종 위기에 처한 해양 생물의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해 해양 보호 구역을 지정하고 있다. 해양 보호 구역에서는 어업, 개발 행위 등을 제한하여 해양 생태계를 보호한다.
  • 해양 오염 방지 기술 개발: 해양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폐수 처리 기술, 해양 쓰레기 수거 기술, 친환경 선박 기술 등이 개발되어 해양 오염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 해양 환경 교육 및 홍보: 해양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고,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해양 환경 교육 및 홍보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해양 환경 보호 캠페인, 해양 환경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해양 환경 보호 의식을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