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사
풍수사는 풍수지리 사상에 기반하여 특정한 장소의 길흉을 판단하고, 그 장소의 기운을 활용하거나 개선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을 말한다. 풍수지리사는 땅의 형세, 물의 흐름, 바람의 방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인간의 삶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거지, 묘지, 건축물의 위치 등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역사
풍수지리는 고대 중국에서 발생하여 오랜 역사를 거치면서 발전해왔으며, 한반도에는 삼국시대에 전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풍수지리는 국가의 주요 정책 결정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풍수사는 왕궁의 위치 선정, 도읍 결정, 묘지 조성 등에 참여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역할 및 활동
풍수사는 다음과 같은 활동을 수행한다.
- 택지 선정: 주거, 사업, 묘지 등 다양한 목적에 맞는 최적의 장소를 선정한다.
- 방위 및 배치: 건물의 방향, 내부 구조, 가구 배치 등을 풍수지리적 원리에 따라 결정한다.
- 흉지 개선: 좋지 않은 기운을 가진 땅의 기운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 자문 및 상담: 개인 또는 기업에게 풍수지리에 대한 자문 및 상담을 제공한다.
자격 및 요건
현행법상 풍수사 자격증은 존재하지 않으며, 관련 협회나 단체에서 발급하는 민간 자격증이 있다. 풍수사가 되기 위해서는 풍수지리 이론, 음양오행, 나경 사용법 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다. 또한, 의뢰인의 요구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풍수지리적 원리에 따라 합리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관련 용어
- 풍수지리
- 음양오행
- 나경
- 명당
- 혈
- 택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