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통신망

통신망(通信網, communication network)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와 전송 매체의 집합체이다. 이는 정보를 교환하고 공유하기 위해 상호 연결된 노드(node)와 링크(link)로 구성된다. 통신망은 정보를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전달하는 데 사용되며, 음성, 데이터,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조

통신망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된다.

  • 노드 (Node): 데이터를 생성, 수신, 처리 또는 전달하는 장치. 컴퓨터, 서버, 라우터, 스위치 등이 노드에 해당한다.
  • 링크 (Link): 노드 간을 연결하는 전송 매체. 유선 케이블(광섬유, 동축 케이블), 무선 전파 등이 링크에 해당한다.
  • 프로토콜 (Protocol): 노드 간의 통신 규칙 및 절차. TCP/IP, HTTP, SMTP 등이 프로토콜에 해당한다.

종류

통신망은 규모, 토폴로지,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 규모에 따른 분류:
    • 개인 통신망 (PAN, Personal Area Network): 개인 사용자를 위한 소규모 네트워크. 블루투스, Zigbee 등이 사용된다.
    • 근거리 통신망 (LAN, Local Area Network): 건물, 사무실 등 제한된 지역 내의 네트워크. 이더넷, Wi-Fi 등이 사용된다.
    • 대도시 통신망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도시 전체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 광역 통신망 (WAN, Wide Area Network): 국가, 대륙 등 넓은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인터넷이 대표적인 예이다.
  • 토폴로지에 따른 분류:
    • 버스형 (Bus Topology): 모든 장치가 하나의 케이블에 연결된 형태.
    • 링형 (Ring Topology): 장치가 링 형태로 연결된 형태.
    • 스타형 (Star Topology): 중앙 집중형 장치(허브, 스위치)를 중심으로 연결된 형태.
    • 트리형 (Tree Topology): 스타형 네트워크를 계층적으로 연결한 형태.
    • 메시형 (Mesh Topology): 모든 장치가 서로 연결된 형태.
  •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
    • 공중 전화망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 인터넷 (Internet):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 사설망 (Private Network): 특정 조직 또는 개인만 사용하는 네트워크.

역할 및 중요성

통신망은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인 인프라로 자리 잡았다. 정보 교환, 데이터 공유, 원격 통신,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경제, 사회, 문화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은 전 세계를 연결하는 거대한 통신망으로서, 정보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연결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미래 전망

미래에는 5G, IoT, 클라우드 컴퓨팅 등 새로운 기술의 발전과 함께 통신망의 역할과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성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통신망은 자율주행, 스마트 시티, 가상현실 등 혁신적인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