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26건

토라

토라(תּוֹרָה, Torah)는 유대교의 가장 중요한 경전으로, 일반적으로 모세 오경(五經)이라고 불리는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를 지칭한다. 좁은 의미로는 이 다섯 권의 책만을 의미하지만, 넓은 의미로는 유대교의 가르침 전체, 즉 성문 토라(Written Torah)와 구전 토라(Oral Torah)를 모두 아우르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어원 및 의미

"토라"라는 단어는 히브리어로 "가르침", "법", "지시" 등을 의미하며, 신이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에게 내린 가르침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성문 토라 (Written Torah)

  • 창세기 (Genesis): 천지창조부터 야곱의 가족이 이집트로 이주하는 이야기까지를 다룬다. 인간의 기원, 죄의 문제, 신의 언약 등을 다룬다.
  • 출애굽기 (Exodus):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에서 노예 생활을 하다가 모세의 지도 아래 해방되어 시나이 산에서 신과 계약을 맺는 과정을 다룬다. 십계명과 성막 건설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다.
  • 레위기 (Leviticus): 제사, 정결 규례, 성결한 삶에 대한 규정 등 제사장과 레위인들의 역할과 관련된 법규를 다룬다.
  • 민수기 (Numbers): 이스라엘 백성이 시나이 광야에서 가나안 땅으로 가는 여정과 관련된 인구 조사, 지도자의 권위, 불순종에 대한 징벌 등을 다룬다.
  • 신명기 (Deuteronomy): 모세가 죽음을 앞두고 이스라엘 백성에게 신의 말씀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고 율법을 재확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신명기적 역사관의 중요한 근거가 된다.

구전 토라 (Oral Torah)

성문 토라에 대한 해석과 적용을 담고 있는 구전 전통으로, 세대를 거쳐 전해 내려오다가 후에 미슈나(Mishnah)와 탈무드(Talmud)로 기록되었다. 구전 토라는 성문 토라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여겨진다.

유대교에서의 중요성

토라는 유대교 신앙과 실천의 핵심이며, 유대인의 정체성과 삶의 방식을 규정하는 근본적인 역할을 한다. 유대인들은 토라를 통해 신의 뜻을 깨닫고 그에 따라 살아가는 것을 삶의 목표로 삼는다. 매주 안식일에 회당에서 토라를 낭독하며, 토라 연구는 유대인들의 중요한 종교적 활동 중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