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령
타령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1. 음악 용어:
- 정의: 한국 전통 음악의 한 형식으로, 주로 경기, 남도 지역에서 발달한 민요의 한 종류이다. 일정한 장단과 가락에 맞추어 반복적인 후렴구를 중심으로 부르는 노래를 지칭한다.
- 특징: 비교적 느린 속도와 서정적인 가사가 특징이며, 삶의 애환, 자연에 대한 감상, 사랑 이야기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장단은 주로 세마치 장단이나 자진모리 장단이 사용된다.
- 분류: 지역에 따라 경기 타령, 남도 타령 등으로 나뉘며, 내용에 따라 노동요, 유희요, 서사 민요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밀양 아리랑, 옹헤야, 강원도 아리랑 등이 있다.
- 악기 편성: 장구, 해금, 피리, 젓대 등의 악기가 주로 사용되며, 가창자와 함께 연주된다.
2. 비유적 의미:
- 정의: 어떤 문제나 상황에 대해 불평이나 푸념을 늘어놓는 행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 용례: "또 시작이네, 넋두리 타령." 과 같이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3. 민속극 용어:
- 정의: 탈춤이나 인형극 등에서 등장인물이 부르는 노래나 대사를 가리키는 말이다. 극의 내용을 설명하거나 분위기를 조성하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