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4,188건

누공

누공은 인체 내에서 두 개의 장기, 혈관, 체강 또는 표면 사이에 비정상적으로 형성된 통로를 의미하는 의학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상피화된 조직으로 이루어진 통로로, 염증, 감염, 외상, 수술 합병증 또는 선천적 원인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종류 누공은 형성된 위치나 연결된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예를 들어 항문 주위에 생기는 항문루, 장과 방광 사이에 생기는 장방광루, 동맥과 정맥 사이에 생기는 동정맥루, 질과 방광 또는 직장 사이에 생기는 질루, 기관과 식도 사이에 생기는 기관식도루 등이 있다. 또한, 원인에 따라 감염성 누공, 외상성 누공, 염증성 누공 등으로 구분하기도 하며, 구조에 따라 단순 누공과 복합 누공으로 나눌 수도 있다.

원인 누공의 가장 흔한 원인은 감염 후 농양(고름집)이 형성되고 이것이 터지면서 비정상적인 통로가 남는 경우이다. 특히 항문 주위 농양과 누공이 관련이 깊다. 크론병과 같은 염증성 장 질환도 누공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그 외에도 수술 후 합병증, 외상, 방사선 치료, 특정 종양 등이 누공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드물게 선천적으로 형성 이상이 있는 경우도 있다.

증상 누공의 증상은 그 위치와 원인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가장 흔한 증상은 누공을 통해 비정상적인 분비물(고름, 혈액, 대변, 소변, 소화액 등)이 배출되는 것이다. 통증, 부종, 발열, 감염, 해당 장기의 기능 장애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문루는 항문 주위의 통증과 고름 또는 대변의 배출을 유발하며, 장루는 소화 내용물이 비정상적인 곳으로 새어 나와 피부 자극이나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진단 진단은 환자의 증상 청취와 신체 검진을 통해 누공의 존재를 의심한 후, 영상 검사를 통해 확진하고 정확한 위치와 형태를 파악한다. 영상 검사에는 초음파, CT, MRI, 누공 조영술(fistulography), 핵의학 검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내시경 검사(대장내시경, 방광경 등)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치료 누공의 치료는 누공의 원인, 위치, 복잡성 및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감염이 동반된 경우 항생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누공은 자연적으로 치유되지 않으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수술 방법에는 누공을 완전히 제거하는 누공 절제술(fistulectomy), 누공관을 절개하여 개방시키는 누관 절개술(fistulotomy), 누공을 폐쇄하는 다양한 성형술(피부판 이식술 등)이나 시술(세톤법 등) 등이 있다. 염증성 질환과 관련된 누공은 원인 질환의 치료와 함께 관리되어야 한다. 경우에 따라 경피적 시술이나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가 시도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