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22건

난태생

난태생(卵胎生, Ovoviviparity)은 동물의 번식 방식 중 하나로, 어미의 몸 안에서 알이 부화하여 새끼가 된 후 어미의 몸 밖으로 나오는 방식을 말한다. 어미는 알에 영양분을 공급하지만, 태반을 통해 직접적으로 새끼에게 영양분을 공급하지는 않는다. 알은 어미의 몸 안에서 보호받으며 부화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받는다.

특징

  • 알의 형태로 발생이 진행되지만, 체외가 아닌 어미의 체내에서 이루어진다.
  • 태생 동물과는 달리, 어미와 새끼 사이에 탯줄과 같은 구조가 형성되지 않는다.
  • 난생 동물과는 달리, 알을 낳는 과정 없이 새끼를 낳는다.

예시

난태생을 하는 동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일부 어류: 뱀상어, 곱등이, 청새치류
  • 일부 파충류: 방울뱀, 살모사
  • 일부 무척추동물: 일부 곤충류, 달팽이류

장단점

  • 장점: 알을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환경 변화에 비교적 덜 민감하다.
  • 단점: 어미의 몸 안에서 알이 부화해야 하므로, 어미의 에너지 소모가 크다.

참고 문헌

  • 생명과학 관련 서적
  • 동물학 관련 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