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86건

부조리

부조리 (不條理)는 일반적으로 이치에 맞지 않거나, 도리에 어긋나는 상황, 행위, 또는 그 결과를 의미한다. 특히, 논리적, 윤리적, 사회적 규범과 상반되는 모순된 상황이나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의미 없음과 관련하여 철학적 논의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어원

부조리는 한자어 '不(아니 불)'과 '條理(조리)'가 결합된 단어로, '조리가 없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조리'는 사물의 이치나 도리를 뜻하므로, '부조리'는 문자 그대로 '이치에 맞지 않음'을 의미한다.

철학적 의미

실존주의 철학에서 부조리는 인간이 끊임없이 의미를 추구하지만, 궁극적으로 세계는 의미가 없고 무관심하다는 사실에서 발생하는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조건으로 여겨진다. 알베르 카뮈는 그의 저서 "시지프 신화"에서 부조리를 인간의 갈망과 세계의 침묵 사이의 간극으로 정의하고, 이러한 부조리에 대한 인식과 반항을 통해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사회적 의미

사회적 맥락에서 부조리는 불합리한 제도, 불공정한 관행, 권력 남용 등 사회 구성원들에게 고통과 불만을 야기하는 다양한 현상을 지칭한다. 이러한 사회적 부조리는 사회적 불평등, 소외, 갈등을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문학 및 예술에서의 부조리

부조리는 문학, 연극, 영화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주요 주제로 다루어진다. 부조리극은 논리적인 인과관계가 결여된 상황, 의미 없는 대화, 예측 불가능한 사건 등을 통해 인간 존재의 불안과 소외를 표현하는 대표적인 예시이다.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는 부조리극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등장인물들이 끊임없이 고도를 기다리지만, 그는 나타나지 않는 상황을 통해 인간 존재의 의미 없음을 보여준다.

같이 보기

  • 실존주의
  • 알베르 카뮈
  • 부조리극
  • 불합리
  • 모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