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릴 아이누어
쿠릴 아이누어는 러시아의 쿠릴 열도에 거주했던 아이누족이 사용했던 언어이다. 현재는 사멸된 언어로 간주된다.
쿠릴 아이누어는 아이누어의 방언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지리적 고립과 독자적인 발전으로 인해 다른 아이누어 방언들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어휘, 음운, 문법적인 특징에서 독자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쿠릴 열도의 자연환경과 관련된 어휘들이 발달했다.
쿠릴 아이누어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며, 주로 18세기부터 19세기 초까지의 기록을 통해 파악되고 있다. 러시아 탐험가, 선교사, 학자 등이 남긴 어휘 목록, 짧은 문장, 민담 등이 남아 있지만, 체계적인 문법 연구나 대규모 텍스트 자료는 부족한 상황이다.
쿠릴 아이누어는 러시아 제국의 쿠릴 열도 점령 이후 러시아어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점차 소멸되었다. 20세기 초에는 대부분의 쿠릴 아이누족이 러시아어를 사용하게 되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일본으로 강제 이주되거나 러시아 본토로 이주되면서 언어 사용자가 급격히 감소했다. 현재 쿠릴 아이누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사람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쿠릴 아이누어는 아이누족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사멸 위기에 처한 소수 언어 보존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