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습
답습(踏襲)은 이전의 방식이나 행동, 이론, 제도 등을 그대로 따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창의적인 개선이나 변화 없이 과거의 것을 반복하는 행위를 지칭하며, 긍정적인 의미와 부정적인 의미 모두를 내포한다.
개념
답습은 기본적으로 모방의 한 형태이지만, 단순한 모방을 넘어 과거의 것을 현재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과거의 성공적인 경험이나 검증된 방법을 따르는 것은 효율성을 높이고 시행착오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무비판적인 답습은 새로운 아이디어나 발전을 저해하고, 시대에 뒤떨어진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긍정적 측면
- 효율성 증대: 이미 효과가 입증된 방법을 사용하므로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
- 안정성 확보: 기존의 시스템이나 절차를 유지함으로써 혼란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 지식의 계승: 선대의 지혜와 경험을 다음 세대로 전달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다.
부정적 측면
- 창의성 저해: 새로운 아이디어나 시도를 가로막아 혁신을 방해한다.
- 발전의 정체: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과거의 방식에 머무르게 한다.
- 문제점의 반복: 과거의 문제점을 개선하지 않고 그대로 반복하게 만든다.
예시
- 역사: 과거 왕조의 통치 방식을 답습하여 유사한 정책을 시행하는 경우
- 기업: 경쟁사의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을 그대로 답습하는 경우
- 교육: 과거의 주입식 교육 방식을 답습하여 학생들의 창의성을 저해하는 경우
관련 용어
- 모방 (模仿)
- 표절 (剽竊)
- 벤치마킹 (Benchmarking)
- 관행 (慣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