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용수
생활용수는 사람이 가정이나 공공시설 등에서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을 총칭한다. 음용, 취사, 세탁, 청소, 위생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인 자원이다.
개요
생활용수는 식수를 포함하여 넓은 범위의 물 사용을 의미한다. 과거에는 우물이나 하천수를 직접 사용하기도 했으나, 인구 증가와 산업 발달로 인해 수질 오염이 심각해지면서 상수도 시스템을 통해 정수된 물을 공급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생활용수의 확보와 관리는 국민의 건강과 위생은 물론, 사회 경제 활동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종류
생활용수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 음용수: 사람이 직접 마시는 물로, 엄격한 수질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 취사 용수: 음식 조리에 사용되는 물로, 위생적인 관리가 중요하다.
- 세탁 용수: 의류, 침구 등을 세탁하는 데 사용되는 물.
- 청소 용수: 건물, 도로 등을 청소하는 데 사용되는 물.
- 위생 용수: 목욕, 샤워, 화장실 등 개인 위생을 위해 사용되는 물.
- 소방 용수: 화재 진압에 사용되는 물.
- 조경 용수: 공원, 정원 등의 식물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물.
수질 기준
생활용수는 국민의 건강과 직결되는 만큼, 엄격한 수질 기준이 적용된다. 각 국가 및 지역별로 수질 기준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유해 물질 함량, 미생물 오염 여부, 색도, 탁도 등을 규제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수도법」에 따라 생활용수의 수질 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정기적인 수질 검사를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절약 방법
생활용수는 한정된 자원이므로, 절약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다음은 생활용수를 절약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다.
- 수도꼭지 잠그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수도꼭지를 잠그는 습관을 들인다.
- 절수형 제품 사용: 절수형 샤워기, 변기 등을 사용하면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 빨래 모아서 하기: 세탁 횟수를 줄이기 위해 빨래를 모아서 한다.
- 물 재활용: 빗물이나 세탁 후 남은 물을 청소용으로 재활용한다.
- 누수 점검: 수도관, 수도꼭지 등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즉시 수리한다.
관련 법규
- 수도법
- 먹는물관리법
- 물환경보전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