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위염
주위염 (周圍炎, Periarthritis)은 어깨 관절을 둘러싼 조직, 특히 회전근개, 관절낭, 힘줄 등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군을 통칭하는 용어입니다. 특정 질환명이 아닌, 어깨 통증을 유발하는 다양한 원인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임상적 용어입니다. 흔히 오십견과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하지만, 주위염은 오십견을 포함하는 더 넓은 범주의 질환을 의미합니다.
원인
주위염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특정 원인을 단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인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회전근개 손상: 어깨 관절의 안정성과 운동 기능을 담당하는 회전근개의 파열, 염증 등이 주위염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충돌 증후군: 어깨뼈의 견봉과 회전근개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 회전근개가 압박을 받아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 석회화건염: 힘줄 내에 칼슘이 침착되어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 유착성 관절낭염 (오십견): 어깨 관절낭에 염증이 생기고 섬유화되어 관절 운동 범위가 제한되는 질환입니다.
- 외상: 어깨 부위의 직접적인 외상, 낙상, 과도한 사용 등이 주위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기타: 드물게는 감염, 종양 등이 주위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
주위염의 주요 증상은 어깨 통증이며, 통증의 양상과 정도는 원인 질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어깨 통증: 어깨 앞쪽, 옆쪽, 뒤쪽 등 다양한 부위에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팔을 움직일 때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운동 제한: 어깨 관절의 운동 범위가 줄어들어 팔을 들어 올리거나 뒤로 젖히는 동작이 어려워집니다.
- 야간통: 밤에 통증이 심해져 잠을 설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근력 약화: 어깨 주변 근육의 힘이 약해져 물건을 들거나 팔을 사용하는 것이 어려워집니다.
- 관절 잡음: 어깨 관절을 움직일 때 소리가 나거나 걸리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진단
주위염의 진단은 주로 환자의 병력 청취, 신체 검진, 영상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병력 청취: 환자의 통증 양상, 발병 시기, 과거 병력 등을 확인합니다.
- 신체 검진: 어깨 관절의 운동 범위, 압통 부위, 근력 등을 평가합니다.
- 영상 검사: 엑스레이, 초음파, MRI 등을 통해 회전근개 파열, 석회화건염, 관절낭염 등의 원인 질환을 확인합니다.
치료
주위염의 치료는 원인 질환, 증상의 정도, 환자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일반적인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보존적 치료:
- 약물 치료: 진통제, 소염제 등을 사용하여 통증을 완화합니다.
- 물리 치료: 온열 치료, 전기 치료, 초음파 치료 등을 통해 염증을 줄이고 관절 운동 범위를 회복합니다.
- 주사 치료: 스테로이드 주사, 히알루론산 주사 등을 통해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합니다.
- 운동 치료: 스트레칭, 근력 강화 운동 등을 통해 어깨 관절의 기능을 회복합니다.
- 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로 효과가 없는 경우, 회전근개 파열, 충돌 증후군, 석회화건염 등을 수술적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예방
주위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 바른 자세 유지: 장시간 컴퓨터 작업이나 스마트폰 사용 시 바른 자세를 유지합니다.
- 스트레칭: 어깨 주변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을 꾸준히 합니다.
- 적절한 운동: 어깨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규칙적으로 합니다.
- 무리한 사용 자제: 어깨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행동을 자제합니다.
- 외상 예방: 낙상, 교통사고 등 외상에 주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