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찰기
개찰기는 철도, 지하철, 버스 등의 대중교통 시설이나 공연장, 경기장 등에서 입장권이나 교통카드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통행을 허가하는 장치이다. 개찰구에 설치되어 승객이나 관람객의 통행을 제어하며, 무임승차나 부정입장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작동 원리
개찰기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작동 원리를 가진다.
- 입장권/교통카드 인식: 승객이 입장권, 교통카드, QR코드 등을 개찰기에 인식시킨다.
- 유효성 검사: 개찰기는 인식된 정보를 바탕으로 입장권/교통카드의 유효성을 검사한다. 유효 기간, 잔액, 사용 횟수 등을 확인한다.
- 통행 허가/거부: 유효성이 확인되면 개찰기 문이 열리거나 회전판이 돌아가 통행을 허가한다. 유효하지 않은 경우, 통행을 거부하고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화면에 메시지를 표시한다.
종류
개찰기는 기술 발전과 함께 다양한 종류로 발전해왔다. 주요 종류는 다음과 같다.
- 기계식 개찰기: 수동으로 회전판을 돌려 통행하는 방식.
- 자기식 개찰기: 자기띠가 있는 승차권을 투입하여 검사하는 방식.
- 광학식 개찰기: QR코드나 바코드를 스캔하여 검사하는 방식.
- IC카드 개찰기: 교통카드나 신용카드를 접촉하여 검사하는 방식.
- 스피드 게이트: 센서로 승객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문이 열리는 방식.
특징
개찰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자동화: 대부분 자동으로 작동하여 인력 소모를 줄여준다.
- 보안: 무임승차 및 부정입장을 방지하여 공정한 이용을 돕는다.
- 효율성: 신속한 통행을 가능하게 하여 혼잡을 완화한다.
- 데이터 수집: 통행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용 패턴 분석 및 서비스 개선에 활용될 수 있다.
활용 분야
개찰기는 대중교통 시설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공연장/경기장: 입장권 확인 및 관람객 통제
- 놀이공원: 자유이용권 확인 및 입장객 관리
- 도서관: 회원증 확인 및 출입 관리
- 헬스장: 회원권 확인 및 이용 관리
- 기업/기관: 출입 통제 및 보안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