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14건

광도계

광도계 (Photometer)는 빛의 밝기, 즉 광도를 측정하는 기기이다. 보다 넓은 의미로는 빛의 세기를 측정하는 기기를 통칭하기도 한다. 광도계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천문학, 사진술, 조명 설계, 환경 모니터링, 의학 등에서 빛의 세기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원리 및 구성 요소:

광도계는 기본적으로 빛을 감지하는 센서와, 그 센서에서 발생한 신호를 처리하여 광도를 나타내는 표시 장치로 구성된다. 센서는 빛의 에너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광전 효과를 이용한 광전관, 광전 증배관, 반도체 광센서 (예: 광다이오드, 광트랜지스터, CCD) 등이 사용된다. 표시 장치는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로 (예: 디지털 숫자, 바 그래프) 보여준다.

종류:

광도계는 측정 대상과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 흡광 광도계 (Absorption Photometer): 시료를 통과한 빛의 흡수 정도를 측정하여 시료의 농도나 특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분광 광도계의 일종이다.
  • 분광 광도계 (Spectrophotometer): 특정 파장의 빛을 이용하여 시료의 흡광도 또는 투과도를 측정하는 장치로, 물질의 정성 및 정량 분석에 활용된다.
  • 섬광 광도계 (Flicker Photometer): 두 개의 빛을 번갈아 가며 보여주어 두 빛의 밝기가 같아 보이도록 조절하는 방식으로 밝기를 비교 측정한다. 주로 시각 연구에 사용된다.
  • 구면 광도계 (Integrating Sphere Photometer): 광원에서 방출되는 총 광속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활용 분야:

  • 천문학: 별의 밝기 측정, 성운 및 은하의 밝기 분포 연구.
  • 사진술: 노출 측정, 조명 효과 분석.
  • 조명 설계: 조명 기구의 성능 평가, 실내 조명 환경 분석.
  • 환경 모니터링: 수질 오염 측정, 대기 오염 측정.
  • 의학: 임상 검사 (혈액 분석, 요 검사), 광선 치료 효과 평가.

참고: 광도계는 빛의 세기를 측정하는 기기이며, 색을 측정하는 색차계와는 구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