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7,105건

제임스 마르시아

제임스 마르시아 (James Marcia)는 미국의 발달 심리학자로, 청소년기 정체성 발달에 대한 그의 이론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에릭 에릭슨(Erik Erikson)의 정체성 대 역할 혼돈 단계를 확장하여, 정체성 탐색(exploration)과 정체성 몰입(commitment)의 두 가지 차원을 기준으로 청소년의 정체성 상태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정체성 지위 이론(Identity Status Theory)을 제시했다.

마르시아의 이론에서 정체성 탐색은 개인이 자신의 가치관, 신념, 목표, 직업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고민하고 다양한 대안을 탐색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정체성 몰입은 특정 가치관이나 목표에 대해 확신을 갖고 헌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두 차원의 유무 및 수준에 따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정체성 지위가 구분된다.

  1. 정체성 성취(Identity Achievement): 탐색 과정을 충분히 거친 후 특정 가치관이나 목표에 대해 확실한 몰입을 형성한 상태이다. 건강하고 성숙한 정체성으로 간주된다.
  2. 정체성 유예(Identity Moratorium): 탐색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구체적인 가치관이나 목표에 대한 몰입은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다. 흔히 '정체성 위기'를 경험하는 시기로 볼 수 있다.
  3. 정체성 폐쇄(Identity Foreclosure): 탐색 과정 없이 부모나 사회 등 외부의 영향으로 주어진 가치관이나 목표를 그대로 수용하고 몰입한 상태이다. 스스로의 고민 없이 조기에 정체성을 결정한 경우이다.
  4. 정체성 혼미(Identity Diffusion): 탐색도 이루어지지 않고 특정 가치관이나 목표에 대한 몰입도 없는 상태이다.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방황하는 상태일 수 있다.

마르시아의 정체성 지위 이론은 청소년기 발달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했으며, 에릭슨의 다소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으로 측정하고 연구하는 데 실질적인 틀을 제공했다. 이 이론은 현재까지도 청소년기 정체성 발달을 이해하는 주요 모델 중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