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6,237건

인종주의

인종주의(人種主義, Racism)는 인종을 인간 사회의 주요 분류 기준으로 삼고, 특정 인종이 다른 인종보다 생물학적, 문화적으로 우월하거나 열등하다는 믿음에 기반한 사상 체계이다. 이러한 믿음은 종종 특정 인종에 대한 편견(prejudice), 차별(discrimination), 적대감(antagonism) 또는 폭력으로 이어지며, 사회적 불평등과 갈등의 심각한 원인이 된다.

인종주의는 단순히 인종 간의 차이를 인식하는 것을 넘어, 이러한 차이에 위계질서를 부여하고 특정 인종에게 특권이나 억압을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이다. 이는 개인의 태도나 행동뿐만 아니라 사회 제도, 정책, 구조 등에도 내재될 수 있으며, 이를 제도적 인종주의(institutional racism)라고 한다.

역사 인종주의는 근대 이후 제국주의, 식민주의, 노예 제도 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발전해왔다. 18세기 이후 일부 학자들은 생물학적 또는 과학적 근거를 들어 인종 간의 우열을 주장하며 차별을 정당화하려 시도하기도 했다(예: 과학적 인종주의, 우생학). 역사적으로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 나치 독일의 유대인 학살(홀로코스트), 미국의 인종 분리 정책(Segregation) 등이 대표적인 인종주의 기반의 차별 및 탄압 사례이다.

형태 인종주의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개인적 인종주의: 개인이 특정 인종에 대해 가지는 편견이나 차별적인 행동.
  • 제도적 인종주의: 법, 정책, 관행 등 사회 시스템이 특정 인종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는 구조적 차별.
  • 문화적 인종주의: 특정 문화나 인종의 문화적 가치를 다른 인종의 문화보다 우월하다고 여기는 것.
  • 노골적인 인종주의: 인종적 폭력, 공개적인 혐오 발언 등 명확하게 드러나는 차별.
  • 은연적인 인종주의: 미세 공격(microaggression) 등 일상생활에서 무의식적으로 나타나는 미묘한 차별.

영향 인종주의는 피해자에게 심각한 정신적, 신체적 고통과 트라우마를 안겨주며, 교육, 고용, 주거, 건강 등 사회경제적 기회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여 불평등을 심화시킨다. 또한 사회 통합을 저해하고 갈등을 증폭시키며, 사회 전반의 안정과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인종주의에 맞서 싸우고 평등과 다양성을 추구하는 다양한 노력과 운동을 반인종주의(anti-racism)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