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3,661건

선상도말평판배양법

선상도말평판배양법 (線狀塗抹平板培養法, Streak Plate Method)은 미생물학에서 혼합 배양된 미생물 집단으로부터 순수 배양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분리 방법 중 하나이다. 평판 배지 표면에 미생물을 연속적으로 희석하여 도말함으로써 단일 콜로니를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원리 및 과정

선상도말평판배양법의 핵심 원리는 도말 과정에서 미생물 세포의 수를 점차적으로 감소시켜, 최종적으로는 배지 표면에 충분히 분리된 단일 세포가 자라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준비물: 멸균된 평판 배지 (일반적으로 한천 배지), 멸균된 백금이나 니크롬 도말 루프, 알코올 램프 또는 버너, 배양하고자 하는 미생물 샘플.
  2. 도말: 멸균된 도말 루프를 사용하여 미생물 샘플을 소량 취한다.
  3. 1차 도말: 평판 배지의 한쪽 끝 부분에 미생물을 빽빽하게 도말한다. 이 영역은 가장 높은 농도의 미생물을 포함하게 된다.
  4. 2차 도말: 도말 루프를 화염 멸균한 후, 1차 도말 영역의 끝부분과 겹치도록 도말한다. 이 과정에서 미생물의 농도가 희석된다.
  5. 3차 및 추가 도말: 2차 도말과 동일한 방식으로, 도말 루프를 매번 멸균하면서 3차, 4차, 또는 그 이상의 도말을 수행한다. 각 도말 단계마다 이전 단계의 끝부분과 겹치도록 도말하여 미생물 농도를 점진적으로 희석시킨다.
  6. 배양: 도말이 완료된 평판 배지를 적절한 온도와 조건에서 배양한다.

결과 및 활용

배양 후, 평판 배지 표면에는 도말 과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콜로니가 형성된다. 초기 도말 영역에는 콜로니가 빽빽하게 나타나지만, 도말을 거듭할수록 콜로니의 수가 줄어들고, 최종적으로는 독립된 단일 콜로니를 관찰할 수 있다.

선상도말평판배양법은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널리 사용된다.

  • 순수 배양 분리: 혼합된 미생물 집단에서 특정 미생물 종만을 분리하여 순수 배양을 얻을 수 있다.
  • 미생물 동정: 분리된 순수 배양을 이용하여 미생물의 형태학적, 생리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동정할 수 있다.
  • 항생제 감수성 시험: 분리된 미생물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을 평가할 수 있다.

장점 및 단점

선상도말평판배양법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특별한 장비 없이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며, 모든 미생물 종에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미생물의 농도가 매우 낮거나 특정 미생물의 생장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효과적인 분리가 어려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