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신저 피싱
메신저 피싱 (Messenger Phishing)은 문자 메시지나 카카오톡, 라인, 텔레그램 등 메신저 앱을 이용하여 개인정보나 금전을 탈취하는 사기 수법의 일종이다. 피싱(Phishing)의 한 형태로, 공격자는 주로 지인이나 가족을 사칭하여 긴급한 상황을 연출하고, 금전적인 지원을 요청하거나 악성 링크를 전송하여 개인정보를 빼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특징
- 지인 사칭: 해킹 또는 개인정보 유출을 통해 확보한 정보를 바탕으로 피해자의 지인(가족, 친구, 동료 등)을 사칭하여 신뢰도를 높인다.
- 긴급 상황 연출: "급하게 돈이 필요하다", "스마트폰이 고장났다" 등 다급한 상황을 만들어 피해자가 이성적인 판단을 하기 어렵게 만든다.
- 악성 링크 유포: 가짜 웹사이트 링크를 보내 개인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하거나,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여 스마트폰을 해킹한다.
- 금전 요구: 소액 결제를 유도하거나, 계좌 이체를 요구하는 방식으로 금전적인 피해를 입힌다.
예방 방법
- 출처 불명의 링크 클릭 금지: 문자 메시지나 메신저 앱으로 받은 링크는 신중하게 확인하고, 의심스러운 링크는 클릭하지 않는다.
- 금전 요구 시 확인: 지인이 금전을 요구할 경우, 반드시 전화나 직접 만나서 사실 여부를 확인한다.
- 개인정보 보호 강화: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하고,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보안 소프트웨어 설치: 스마트폰에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한다.
- 의심스러운 메시지 신고: 스팸 메시지 신고 기능을 이용하여 악성 메시지를 신고한다.
관련 법규
메신저 피싱은 형법상 사기죄에 해당하며,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 및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통신사기피해환급법)에 따라 피해 구제를 받을 수 있다.
같이 보기
- 피싱
- 스미싱
- 파밍
- 보이스피싱
- 랜섬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