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가
댓가([[대가]])는 어떤 행위나 결과에 대한 보상 또는 반작용을 의미하는 한국어 단어이다. 주로 노력이나 희생에 대한 보상, 또는 어떤 행위에 따른 결과(좋은 결과든 나쁜 결과든)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긍정적 의미와 부정적 의미 모두를 가질 수 있다.
어원 및 어휘 변천:
댓가는 '대가'의 다른 표기법으로, '대가격'에서 '격'이 생략된 형태로 추정된다. '대가'는 '값, 보상'을 뜻하는 고유어이며, 한자어 '代價'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하지만 현재는 한자어 '代價'의 의미와 거의 동일하게 사용되고 있다.
용례:
- 댓가를 치르다: 어떤 행위에 대한 결과, 흔히 부정적인 결과를 감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 노력의 댓가를 얻다: 노력에 대한 보상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 댓가를 기대하다: 어떤 행위에 대한 보상을 예상하는 것을 의미한다.
- 값진 댓가: 높은 가치를 지닌 보상을 의미한다.
유의어:
보상, 대가, 값, 결과, 대가격, 반응, recompense, compensation
관련 어휘:
보상, 희생, 노력, 결과, 책임
비슷한 단어와의 차이점:
'결과'는 댓가의 원인이 되는 행위의 결과를 포괄적인 의미로 나타내는 반면, '댓가'는 그 결과가 특히 보상 또는 반작용의 의미를 강조한다.
참고 문헌: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추가적인 학술자료나 사전 링크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