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6,947건

음식물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는 식량 생산, 유통, 가공, 소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먹을 수 있거나 먹을 수 있었던 음식물 또는 그 부산물을 의미한다. 넓은 의미로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뿐만 아니라 먹고 남은 음식, 유통기한이 지나 버려지는 음식, 식재료 손질 후 남은 부산물 등을 모두 포함한다.

정의 및 분류

음식물 쓰레기는 법적으로 '음식물류 폐기물'이라고도 불리며,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관리된다. 일반적인 쓰레기와 달리 사료나 퇴비 등으로 재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 분리수거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음식물 쓰레기의 분류는 국가 및 지역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나뉜다.

  • 재활용 가능: 동물 사료, 퇴비, 바이오가스 생산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예: 채소류, 과일류, 곡류 등)
  • 재활용 불가능: 섬유질이 많거나 염분, 수분 함량이 높아 재활용이 어려운 음식물 쓰레기 (예: 뼈, 껍데기, 젓갈류, 장류 등)

발생 원인

음식물 쓰레기는 가정, 음식점, 급식소, 식품 제조·유통 업체 등 다양한 곳에서 발생한다. 주요 발생 원인은 다음과 같다.

  • 계획 없는 식재료 구매: 필요량 이상으로 식재료를 구매하여 남는 경우
  • 과도한 음식 준비: 먹을 양보다 많은 음식을 조리하여 남기는 경우
  • 유통기한 임박: 유통기한이 임박하여 소비하지 못하고 버리는 경우
  • 식습관: 먹을 수 있는 부분을 버리는 습관 (예: 빵 껍질, 과일 껍질 등)
  • 뷔페식 식사: 필요 이상으로 음식을 담아 남기는 경우

문제점 및 영향

음식물 쓰레기는 환경, 경제, 사회적으로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 환경 오염: 매립 시 메탄가스 발생으로 인한 온실 효과 심화, 침출수로 인한 토양 및 수질 오염 유발
  • 경제적 손실: 음식물 쓰레기 처리 비용 증가, 식량 자원 낭비
  • 사회적 문제: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위생 문제 발생

감소 방안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은 개인, 기업, 정부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 개인: 계획적인 식재료 구매, 남은 음식 재활용,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 철저
  • 기업: 유통기한 표시 개선, 포장재 감량, 잔반 줄이기 캠페인
  • 정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설 확충, 음식물 쓰레기 감량 정책 추진, 국민 인식 개선 교육

재활용

음식물 쓰레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재활용될 수 있다.

  • 사료: 동물 사료로 가공하여 사용
  • 퇴비: 농작물 비료로 사용
  • 바이오가스: 혐기성 소화를 통해 메탄가스를 생산하여 에너지원으로 활용

관련 법규

  • 폐기물관리법
  •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억제 및 처리 촉진에 관한 법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