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돌림
따돌림은 집단 내에서 특정 개인이나 집단을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소외, 무시, 언어적/신체적 폭력 등의 행위를 의미한다. 이는 피해자에게 심각한 정신적 고통과 사회적 부적응을 야기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자살과 같은 극단적인 선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정의 및 특징
따돌림은 단순히 일회성 다툼이나 장난과는 구별된다. 다음은 따돌림의 주요 특징이다.
- 지속성: 단발적인 사건이 아닌,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행위이다.
- 권력 불균형: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에 힘의 불균형이 존재한다. 이는 신체적 힘, 사회적 지위, 심리적 영향력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 고의성: 가해자는 피해자에게 고통을 주려는 의도를 가지고 행동한다.
- 소외: 피해자는 집단으로부터 고립되고 소외감을 느낀다.
유형
따돌림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 언어적 따돌림: 욕설, 비난, 조롱, 험담, 협박 등 언어를 이용한 괴롭힘이다.
- 신체적 따돌림: 구타, 폭행, 물건 빼앗기, 강제적인 심부름 등 신체에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는 행위이다.
- 관계적 따돌림: 집단 내에서 고립시키거나 따돌리고, 거짓 소문을 퍼뜨려 관계를 망치는 행위이다.
- 사이버 따돌림: 온라인 상에서 언어폭력, 명예훼손, 사생활 침해 등을 통해 괴롭히는 행위이다.
원인
따돌림의 원인은 개인적 요인, 가정환경, 학교 환경, 사회적 요인 등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 개인적 요인: 가해자의 경우 공격성, 공감 능력 부족, 자기 중심성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피해자의 경우 소극적인 성격, 사회성 부족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가정환경: 가정 내 폭력, 방임, 과도한 경쟁 심화 등이 따돌림을 유발할 수 있다.
- 학교 환경: 경쟁적인 학업 분위기, 교사의 무관심, 따돌림에 대한 인식 부족 등이 따돌림을 심화시킬 수 있다.
- 사회적 요인: 사회 전반의 폭력적인 문화, 경쟁 사회의 심화 등이 따돌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해결 방안
따돌림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 예방 교육: 따돌림의 심각성을 알리고, 예방하는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 피해자 보호: 피해자를 위한 상담 및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고, 피해자가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가해자 교육: 가해자의 행동을 교정하고,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 학교 및 가정의 협력: 학교와 가정은 따돌림 문제 해결을 위해 긴밀하게 협력해야 한다.
- 법적 제재: 심각한 따돌림 행위에 대해서는 법적 제재를 가할 수 있다.
관련 법규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 아동복지법
같이 보기
- 학교폭력
- 사이버 폭력
- 집단 괴롭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