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342건

스톱 로스

스톱 로스(Stop Loss)는 투자자가 특정 자산의 손실을 제한하기 위해 설정하는 주문 유형이다. 미리 정해 놓은 가격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매도 주문이 실행되도록 하여 추가적인 손실을 방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스톱 로스 주문은 주식, 외환, 암호화폐 등 다양한 금융 상품에 적용될 수 있으며, 투자 전략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개요

스톱 로스는 손실 제한 주문 또는 손절매 주문이라고도 불린다. 투자자가 매수한 가격보다 낮은 특정 가격에 스톱 로스 주문을 설정해두면, 해당 가격에 도달했을 때 자동으로 매도 주문이 실행된다. 이는 시장 상황이 예상과 다르게 흘러갈 경우, 투자자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손실을 제한하는 데 도움을 준다. 스톱 로스 주문은 투자 심리를 배제하고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손실을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스톱 로스 설정 방법

스톱 로스 가격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고정 비율: 매수 가격 대비 일정 비율(예: 5%, 10%) 낮은 가격에 스톱 로스를 설정한다.
  • 변동성 기반: 자산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스톱 로스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ATR(Average True Range) 지표를 활용하여 변동성에 따라 스톱 로스 가격을 조정할 수 있다.
  • 기술적 분석: 지지선, 저항선, 추세선 등 기술적 분석 지표를 활용하여 스톱 로스를 설정한다.
  • 심리적 수준: 투자자의 위험 감수 능력에 따라 스톱 로스 가격을 설정한다.

스톱 로스의 종류

  • 일반 스톱 로스 (Regular Stop Loss): 지정된 가격에 도달하면 즉시 매도 주문이 실행되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스톱 로스이다.
  • 트레일링 스톱 로스 (Trailing Stop Loss): 자산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스톱 로스 가격도 함께 올라가는 방식이다. 가격 상승 추세가 꺾이면 자동으로 매도 주문이 실행되어 이익을 확보하고 손실을 제한할 수 있다.
  • 개런티드 스톱 로스 (Guaranteed Stop Loss): 시장 변동성이 큰 상황에서도 지정된 가격에 매도 주문이 반드시 실행되는 스톱 로스이다. 일반적으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주의 사항

스톱 로스 주문은 시장 상황에 따라 의도치 않게 체결될 수 있다. 특히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는 일시적인 가격 변동으로 인해 스톱 로스 주문이 발동될 수 있으며, 이후 가격이 다시 상승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톱 로스 가격을 설정할 때는 시장 상황과 자산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또한, 슬리피지(slippage) 현상으로 인해 실제로 체결되는 가격이 스톱 로스 가격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유념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