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두
복두(幞頭)는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걸쳐 남자들이 착용하던 모자의 일종이다. 주로 관리나 선비들이 착용했으며, 그 형태와 재질은 시대에 따라 변화했다.
기원 및 역사
복두는 당나라 시대의 포두(包頭)에서 유래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고려 시대에 유입되어 관모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조선 시대에는 사모(紗帽)가 등장하면서 점차 간소화되었고, 평상복이나 의례복에 착용하는 모자로 변화하였다.
형태 및 종류
복두는 기본적으로 머리를 감싸는 형태이며, 양쪽에 각(角)이라고 불리는 뿔이 달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각의 형태, 재질, 높이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했다.
- 전각복두(展角幞頭): 각이 양 옆으로 넓게 펼쳐진 형태.
- 절각복두(折角幞頭): 각이 안쪽으로 꺾인 형태.
- 평정건(平頂巾): 복두의 변형된 형태로, 각이 없고 평평한 형태.
재료 및 제작
복두는 주로 검은색의 얇은 천이나 사(紗)로 만들어졌으며, 안쪽에는 말총이나 종이 등을 넣어 형태를 유지했다. 각의 재료는 뿔의 형태에 따라 다양했으며, 나무, 옻칠한 종이, 심지어 금속을 사용하기도 했다.
의의
복두는 단순히 머리를 가리는 용도를 넘어 신분과 예(禮)를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이었다. 특히 관복과 함께 착용하여 관료로서의 위엄을 드러내는 역할을 했다. 또한, 복두의 형태 변화는 당시 사회의 문화와 유행을 반영하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