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위증죄

위증죄는 법정에서 선서한 증인이 자신의 기억에 반하는 사실이나 허위의 사실을 진술하는 범죄를 의미합니다. 즉, 증인이 법률에 따라 선서를 하고 진술하는 과정에서 고의로 진실과 다른 내용을 말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요건:

  • 선서: 위증죄는 반드시 선서가 이루어진 후에 진술된 내용에 대해서만 성립합니다. 선서 없이 한 진술은 위증죄가 아닌 다른 죄(예: 허위사실유포죄)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 법정: 위증죄는 형사소송법, 민사소송법 등 법률에 따라 재판이 진행되는 법정에서 발생해야 합니다. 국회나 행정기관 등에서의 증언은 별도의 법률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 허위 진술: 진술 내용이 객관적인 사실과 다를 뿐만 아니라, 증인이 자신의 기억에 반하여 허위로 진술해야 합니다. 착오나 오해로 인해 사실과 다른 진술을 한 경우에는 위증죄가 성립하지 않습니다.
  • 고의성: 허위 진술에 대한 고의성이 있어야 합니다. 즉, 증인이 자신의 진술이 허위라는 것을 인식하면서도 고의로 그러한 진술을 해야 위증죄가 성립합니다.

법적 근거 및 처벌:

위증죄는 형법 제152조에 규정되어 있으며, 위증을 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참고:

위증죄는 사법 정의를 훼손하는 중대한 범죄로, 재판의 공정성을 해치고 억울한 피해자를 양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증죄에 대한 엄격한 처벌은 사법 시스템의 신뢰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