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담집
야담집은 민간에 떠도는 흥미로운 이야기나 기이한 사건, 역사 속 인물에 대한 일화 등을 모아 엮은 책을 말한다. 정사(正史)에 기록되지 않은 비공식적인 이야기들을 담고 있어 역사 연구의 보조 자료로 활용되기도 하며, 당시 사회상을 반영하는 문학 작품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특징
- 구전성: 야담의 주된 특징은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오는 구전(口傳)적인 성격이다. 이러한 구전 과정에서 이야기가 윤색되거나 과장되는 경우가 많아 사실과는 다른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 흥미 위주: 독자들의 흥미를 끌기 위해 기이하고 신비로운 이야기, 영웅적인 활약, 익살스러운 해학 등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
- 다양한 소재: 역사, 인물, 괴담, 민담, 설화 등 다양한 소재를 다루며, 사회 풍자나 비판적인 시각을 담고 있기도 하다.
- 문학적 가치: 야담집은 단순한 이야기 모음집을 넘어 당시 사람들의 생각과 생활 방식, 가치관 등을 엿볼 수 있는 문학 작품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대표적인 야담집
- 《어우야담(於于野談)》: 조선 중기 학자 유몽인이 지은 야담집으로, 다양한 인물과 사건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 《계서야담(溪西野談)》: 조선 후기 학자 조수삼이 지은 야담집으로, 해학과 풍자가 돋보이는 이야기가 많다.
- 《청구야담(靑丘野談)》: 작자 미상의 야담집으로, 다양한 민간 설화와 기이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참고 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야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