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뇨
야뇨증 (夜尿症, Nocturnal Enuresis)은 수면 중 무의식적으로 소변을 보는 증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만 5세 이상의 어린이가 적어도 3개월 이상, 한 달에 2회 이상 밤에 오줌을 싸는 경우를 야뇨증으로 정의한다.
개요
야뇨증은 흔히 아이들의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일부 어린이에게는 심리적 문제나 사회생활의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야뇨증은 크게 일차성 야뇨증과 이차성 야뇨증으로 구분된다. 일차성 야뇨증은 태어나서 한 번도 밤에 소변을 가리지 못한 경우를 말하며, 이차성 야뇨증은 최소 6개월 이상 밤에 소변을 가리다가 다시 야뇨증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원인
야뇨증의 원인은 다양하며, 단일 원인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주요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야간 다뇨: 수면 중 소변 생성량이 과도하게 많은 경우
- 방광 용적 감소: 방광에 저장할 수 있는 소변량이 적은 경우
- 수면 각성 장애: 밤에 소변이 마려운 것을 느끼고 깨는 능력이 부족한 경우
- 항이뇨 호르몬 (바소프레신) 분비 부족: 밤에 소변 생성을 억제하는 호르몬 분비가 부족한 경우
- 유전적 요인: 가족력이 있는 경우
- 심리적 요인: 스트레스, 불안, 가정 환경 변화 등
진단
야뇨증 진단은 주로 병력 청취와 신체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필요한 경우 소변 검사, 배뇨 일지 작성 등을 시행하여 야뇨증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치료
야뇨증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주요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다.
- 행동 요법: 자기 전 수분 섭취 제한, 규칙적인 배뇨 습관, 야뇨 경보기 사용 등
- 약물 요법: 항이뇨 호르몬 제제 (데스모프레신), 삼환계 항우울제 등
- 심리 요법: 심리적 스트레스 해소, 자신감 향상 등
예후
대부분의 야뇨증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호전되지만, 일부 어린이에게는 지속될 수 있다. 적절한 치료를 통해 야뇨증으로 인한 심리적, 사회적 문제를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다.
관련 질환
- 요로 감염
- 당뇨병
- 변비
- 수면 무호흡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