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질환
심질환 (心疾患, heart disease)은 심장과 관련된 모든 질병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이다. 심장은 혈액을 온몸으로 순환시키는 중요한 기관으로, 심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은 신체 전반에 걸쳐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심질환은 선천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고, 후천적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분류
심질환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주요 분류는 다음과 같다.
- 관상동맥 질환 (Coronary Artery Disease, CAD):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발생하는 질환이다. 협심증, 심근경색 등이 이에 속한다.
- 심부전 (Heart Failure): 심장이 혈액을 충분히 펌프질하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 부정맥 (Arrhythmia): 심장의 전기적 신호 체계에 이상이 생겨 심장 박동이 불규칙해지는 질환이다. 빈맥, 서맥, 심방세동 등이 이에 속한다.
- 심장판막 질환 (Valvular Heart Disease): 심장 판막에 이상이 생겨 혈액 흐름에 문제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협착, 폐쇄부전 등이 있다.
- 선천성 심질환 (Congenital Heart Disease): 태어날 때부터 심장의 구조적 이상을 가지고 태어나는 질환이다. 심방중격결손, 심실중격결손 등이 있다.
- 심근병증 (Cardiomyopathy): 심장 근육 자체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이다. 확장성 심근병증, 비후성 심근병증 등이 있다.
- 심낭 질환 (Pericardial Disease):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심낭에 염증이나 액체 고임 등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심낭염, 심낭압전 등이 있다.
원인
심질환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질환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고혈압: 혈압이 장기간 높게 유지되면 심장에 부담을 주어 심질환 발생 위험을 높인다.
- 고지혈증: 혈액 내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으면 혈관 벽에 쌓여 혈관을 좁아지게 하고,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을 높인다.
- 흡연: 흡연은 혈관을 손상시키고 혈압을 높여 심질환 발생 위험을 높인다.
- 당뇨병: 당뇨병은 혈관을 손상시키고 심질환 발생 위험을 높인다.
- 비만: 비만은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등 심질환 위험 요인을 증가시킨다.
- 가족력: 심질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심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 스트레스: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인다.
- 감염: 특정 감염은 심장에 염증을 일으켜 심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증상
심질환의 증상은 질환의 종류와 심각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가슴 통증 (Angina): 가슴을 짓누르거나 조이는 듯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 호흡 곤란 (Shortness of Breath): 숨쉬기가 어렵거나 숨이 가빠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피로감 (Fatigue): 쉽게 피로를 느끼거나 무기력해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부종 (Edema): 다리, 발목, 발 등이 붓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두근거림 (Palpitations):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불규칙하게 뛰는 것을 느낄 수 있다.
- 어지러움 (Dizziness): 현기증을 느끼거나 쓰러질 듯한 느낌이 들 수 있다.
진단
심질환의 진단은 환자의 병력 청취, 신체 검사, 다양한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주요 검사는 다음과 같다.
- 심전도 (Electrocardiogram, ECG):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여 부정맥, 심근경색 등을 진단하는 데 사용된다.
- 심장초음파 (Echocardiogram): 초음파를 이용하여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평가한다.
- 운동부하검사 (Stress Test): 운동 중 심장의 반응을 평가하여 관상동맥 질환 등을 진단하는 데 사용된다.
- 관상동맥 CT (Coronary CT Angiography): CT 촬영을 통해 관상동맥의 상태를 확인한다.
- 관상동맥 조영술 (Coronary Angiography): 카테터를 이용하여 관상동맥에 조영제를 주입하고 X-ray 촬영을 하여 관상동맥의 상태를 확인한다.
- 혈액 검사 (Blood Test): 콜레스테롤 수치, 혈당 수치, 심장 효소 수치 등을 측정하여 심질환 위험 요인을 평가한다.
치료
심질환의 치료는 질환의 종류와 심각도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주요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생활 습관 개선: 건강한 식단, 규칙적인 운동, 금연, 절주 등을 통해 심질환 위험 요인을 줄인다.
- 약물 치료: 혈압 강하제, 콜레스테롤 저하제, 항혈소판제, 항응고제 등 다양한 약물을 사용하여 심질환을 관리한다.
- 시술 및 수술: 관상동맥 성형술, 관상동맥 우회술, 판막 치환술, 심장 박동기 삽입술 등 다양한 시술 및 수술을 통해 심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을 교정한다.
예방
심질환은 예방 가능한 질환이다.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심질환 위험 요인을 관리하면 심질환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다.
- 건강한 식단: 과일, 채소, 통곡물, 저지방 단백질 등을 섭취하고, 포화 지방, 트랜스 지방, 콜레스테롤, 나트륨 섭취를 줄인다.
- 규칙적인 운동: 매일 30분 이상 꾸준히 운동한다.
- 금연: 흡연은 심질환 위험을 높이므로 반드시 금연한다.
- 절주: 과도한 음주는 심질환 위험을 높이므로 절제한다.
- 정기적인 검진: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심질환 위험 요인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