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021건

받침

받침은 한글 낱자의 짜임에서 가로획 아래에 놓이는 자음 글자를 말한다. 종성(終聲)이라고도 한다. 즉, 음절의 끝소리를 나타내는 자음이다.

개요

한글은 초성(初聲, 첫소리), 중성(中聲, 가운뎃소리), 종성(終聲, 끝소리)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에서 받침은 종성에 해당하며, 음절을 닫는 역할을 한다. 모든 음절이 반드시 받침을 가지는 것은 아니며, 받침이 없는 음절도 존재한다.

종류

현대 한글에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의 14개 자음과 'ㄲ, ㅆ'의 2개의 겹자음, 그리고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의 11개 겹받침을 포함하여 총 27개의 받침을 표기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 발음되는 받침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로 제한된다 (이를 '7종성 법칙'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옷', '밭', '겉'은 모두 받침 'ㄷ'으로 발음된다.

역할 및 중요성

받침은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밤'과 '밥'은 받침의 유무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진다. 또한, 받침은 뒤따라오는 음절의 초성에 영향을 미쳐 연음 현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옷 안'은 [오단]으로 발음된다. 받침의 정확한 발음은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매우 중요하다.